본문 바로가기
전기를 관리하자

전기세 납부일 확인 방법 및 연체시 불이익 총정리

by 365석 2025. 6. 17.
반응형

 

1. 전기세 납부일이 언제인지 아시나요?

전기요금 납부일은 일반적으로 검침일 기준 다음 달 15일 전후입니다.

예시로, 매달 15일이 검침일인 경우, 다음달 10~15일 사이에 납부 고지서가 도착하고 그 달 말일 전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납부일은 고지서에 명시되며, 모바일 고지서나 한전 앱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전기세 납부일 확인 방법 3가지 알아보기

1) 모바일 고지서 : 카카오페이, 토스, 네이버페이 등에서 자동으로 알림받기

2) 한전 홈페이지/앱(스마트한전) : https://cyber.kepco.co.kr
3) 자동이체 등록 여부확인하기 : 자동이체일은 납부일 당일 혹은 하루 전으로 설정됩니다.

 

 

 

3. 전기요금 연체 시 불이익 확인하기

납부기한이 지나면 연체이자가 발생합니다.

1) 연체 이자율 : 연 5% - 1일 단위로 계산된다.

2) 고지서 기준 약 10일~15일 이후 미납 시 전기 공급 중단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3) 특히 상가나 자취방 등은 단전까지 빠르게 진행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연체된 전기요금 납부 방법은?

1) 한전 고객센터 연락하기 (국번없이 123)

2) 스마트한전 앱이나 홈페이지 확인하기

3) 편의점 납부, 인터넷 뱅킹, 계좌이체 등 다양하게 활용하기 

* 전기 공급이 중단되었다면 납부 후 약 1~2시간 내 자동 복구되는 경우가 많아요.

 

 

5. 전기요금 자동이체 설정하는 법 

연체 방지를 위해 자동이체 등록을 추천합니다.

방법은 스마트 한전 앱 > 납부방법 변경 > 자동이체 신청하기 

대부분의 시중 은행에서 이체가 가능합니다.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도 포함됩니다.

자동이체는 납부일 기준으로 처리되며, 미리 잔액을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모두 기한내 전기세를 잘 납부하여 연체되는 일이 없도록, 개인적으로 받는 불이익이 없도록 잘 관리해보아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