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도시가스 요금표 최신 업데이트|서울·경기·부산 인상률과 절약 꿀팁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겨울 고지서를 받아든 순간, 숫자에 눈이 먼저 갑니다.
"이번 달엔 왜 이렇게 많이 나왔지?" 매년 반복되지만, 해마다 체감은 달라집니다.
도시가스 요금은 단순히 ‘더 썼다’의 문제가 아닙니다. 요금 구조, 지역별 단가, 정부의 원료비 조정까지 모두 연결되어 있죠.
오늘은 2025년 기준 도시가스 요금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우리 집 고지서의 비밀을 천천히 풀어볼게요.
1. 도시가스 요금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도시가스 요금은 두 단계로 구성됩니다. 먼저 도매요금은 한국가스공사가 해외에서 LNG(액화천연가스)를 수입해 공급하는 가격입니다. 이 원료비는 국제 유가에 연동되어 분기별로 조정됩니다.
두 번째는 소매요금으로, 각 지역 도시가스사가 소비자에게 공급할 때 붙는 비용이에요. 즉, 공사가 가스를 ‘도매로 팔고’, 지역사가 ‘소매로 판매’하는 구조죠. 여기에는 기본요금, 공급비, 부가세가 더해져 우리가 받는 고지서가 완성됩니다.
이런 구조를 알고 나면, 같은 사용량이어도 왜 해마다 요금이 달라지는지 이해가 됩니다.
2. 2025년 도시가스 요금 조정 포인트
2025년 도시가스 요금은 작년보다 평균적으로 소폭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국제 LNG 수입단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또한 원료비 조정 단가와 공급비 인상분이 함께 반영되어 있습니다.
가정용의 경우 ㎥당 평균 약 1~2% 인상된 수준으로 알려졌어요. 겨울철에는 난방 수요가 급증하므로, 체감 요금은 이보다 훨씬 크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결국 ‘단가 인상 + 사용량 증가’가 합쳐져 고지서 숫자가 커지는 셈이죠. 특히 개별난방 세대는 사용량 변화가 그대로 비용에 반영되므로, 평균 기온이 낮은 해일수록 난방비 차이가 크게 납니다.
📊 2025년 도시가스 요금표 (가정용 기준)
| 지역 | 공급사 | 기본요금(원/월) | 사용요금(원/㎥) | 비고 |
|---|---|---|---|---|
| 서울 | 서울도시가스 | 1,090 | 19.64 | 2025.01 기준 |
| 경기 | 삼천리·코원·경기도시가스 | 1,050 | 20.12 | 지역별 미세차 존재 |
| 부산 | 부산도시가스 | 1,200 | 21.35 | 공급비 반영 |
| 대구 | 대성에너지 | 1,150 | 22.01 | 평균단가 기준 |
| 광주 | 해양에너지 | 1,180 | 23.05 | 공급비·운영비 포함 |
※ 상기 요금은 2025년 1분기 기준 예시 단가이며, 실제 청구요금은 사용량·검침일·부가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3. 지역마다 요금이 다른 이유
도시가스 요금은 전국이 동일하지 않습니다. 서울, 경기, 부산 등 각 지역마다 공급사와 인프라 구조가 달라서 단가도 다르게 책정돼요. 예를 들어 서울은 ‘서울도시가스’, 부산은 ‘부산도시가스’가 공급을 맡는데, 각 회사의 공급비·운영비 차이가 단가에 반영됩니다. 즉, 같은 양의 가스를 써도 지역이 다르면 요금이 달라질 수 있는 이유죠. 2025년 기준으로 수도권은 평균 ㎥당 18~20원대, 지방 일부 지역은 22~25원대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 차이는 정부의 원료비 조정이 일괄 반영되더라도, 각 지역사가 결정하는 공급비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차이입니다.
4. 우리 집 요금 계산법, 직접 확인해보기
도시가스 요금은 기본요금 + 사용요금 + 부가세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 기준으로 가정용 난방을 주로 사용하는 세대라면 기본요금 약 1,000원 + 사용량(㎥)×단가(약 20원) + 부가세(10%)로 계산됩니다. 즉, 100㎥를 썼다면 약 22,000원 내외의 순수 가스요금이 나오는 셈이에요. 여기에 계절별 조정 단가나 안전관리비 등이 추가될 수도 있습니다.
이 구조를 이해하면, 다음 달 고지서를 받을 때 ‘이번엔 왜 많이 나왔는지’ 숫자만 보고도 감이 옵니다. 특히 겨울철엔 평균 사용량이 여름보다 3~4배 늘기 때문에, 단가보다 절약이 관건입니다.
5. 요금표를 이해하면 절약이 보인다
요금표를 보는 건 단순히 ‘얼마 나왔나’ 확인하기 위한 게 아닙니다.
기본 구조를 알고 보면, 어떤 습관이 비용을 키우는지도 자연스럽게 보이거든요.
예를 들어 보일러 온도를 한 단계 낮추거나, 외출 모드로 자주 전환하는 것만으로도 한 달 평균 10~15%의 절약이 가능합니다. 또한 검침일 전후로 난방을 집중적으로 쓰는 습관은 고지서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도시가스 요금표는 ‘겨울철 가계관리표’이기도 해요. 요금 구조를 이해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는 단순히 몇천 원이 아니라, 한 달 난방비의 체감까지 달라집니다.
다음 글에서는 '도시가스 절약 꿀팁 10가지'를 소개해 드릴개요.
꼭 읽어보시고 겨울철 난방비를 절약해보아요.
함께 보면 좋은 글
1) 보일러 끄지 말고 루틴만 바꿔보세요. 겨울 가스요금 15% 줄이는 진짜 방법
보일러 끄지 말고 루틴만 바꿔보세요. 겨울 가스요금 15% 줄이는 진짜 방법
아침마다 보일러를 꺼두던 내 습관, 사실은 더 손해요즘처럼 일교차 큰 시기엔, 보일러를 언제 켜고 끌지 헷갈릴 때가 많아요.저도 예전엔 외출할 때마다 “전기 아껴야지” 하는 마음으로 보일
zeongys.com
2) 난방비 폭탄의 진짜 원인 : 아파트 중앙난방 vs 개별난방
출처: 한국가스공사
'생활정보통 > 도시가스 요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도시가스 요금 폭탄, 우리 집만 비싼 이유 찾는 방법 (도시가스 절약 루틴 총정리) (0) | 2025.10.29 |
|---|---|
| 보일러 온도 몇 도가 가장 효율적일까? 겨울 보일러 최적 온도 공식 (0) | 2025.10.23 |
| 난방비 폭탄의 진짜 원인, 보일러 효율이 절반을 좌우한다 (0) | 2025.10.21 |
| 난방비 폭탄의 진짜 원인: 아파트 중앙난방 vs 개별난방 (0) | 2025.10.21 |
| 도시가스 요금 인상, 이번 겨울엔 진짜 ‘난방비 폭탄’ 올까? (0) | 2025.10.21 |